스파르타 코딩클럽(Java+Spring과정)7 칸반보드 팀 프로젝트 (2024.07.11 ~ 2024.07.15) https://github.com/Oe-In-DevelopTeam/TaskNavigator GitHub - Oe-In-DevelopTeam/TaskNavigator: 업무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투명한 업무 처리를 할 수 있게 도와업무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투명한 업무 처리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 Contribute to Oe-In-DevelopTeam/TaskNavigato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https://teamsparta.notion.site/78fe474cd822414eafc8e09bcb09c48d 외인개발단 | Notion로그인teamsparta.notion.site 2024. 7. 16. 9해줘 KPT 회고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github 기능을 잘 활용해서 협업시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팀원끼리 서로의 문제를 같이 해결해주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역할 분담을 체계적으로하여 병합시 큰 오류 없이 잘 해결한 것 같다도전적으로 자신이 해보지 않았던 부분을 하여 성장할 수 있었다Problem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계층형 구조로 디렉토리를 설계하다보니 하나의 패키지 안의 클래스가 많아졌다백오피스 api들에서 admin 검증 로직 반복되는 문제Try -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당장 실행 가능한 것백오피스 api를 검증하는 로직을 aop나 hasRole로 분리하자프로젝트에 따라 계층형 구조로 설계할지 도메인 구조로 설계할지 잘 생각해보자 팀 노션https://www.notion.so/teamspar.. 2024. 6. 25. 14조 - E거 I4아이가 KPT 😆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회의를 통해 계획을 잘 짰고 그 계획에 맞춰서 잘 진행하여 원활하게 협업이 진행되었다.Github 기능(이슈, PR, 커밋규칙 , 코드리뷰 등)을 잘 활용하여 협업시 충돌을 최소화하고 개개인의 진행 상황을 잘 파악할 수 있었다.매일 2번씩 소통 시간을 가져서 편하게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팀원분들이 다들 캠을 특별한 일이 아니고선 계속 켜 주셔서 좀 더 몰입할 수 있었던 것 같다.좋은 팀원들을 만난 것 💓🫠 Problem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포스트맨으로 테스트 시, 발행한 토큰을 직접 하나하나 넣어준 것머지할때 리뷰 몇 명 이상이 되어야 머지를 해야할지 정하지 않은것, 머지를 승인할 사람을 따로 두지 않은 것머지하기 전.. 2024. 6. 11. 나만의 일정 관리 앱 서버 만들기 드디어 내 첫 Spring 개인 과제를 할 시간이다.나만의 일정 관리 앱 서버를 만들라고 하셨다. 일단 Use Case Diagram부터 그려볼게요. 근데 그게 뭔데?쉽게 말해서 시스템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것여기서 또 중요한 게 있는데 관계라는 것이 존재한다. 벌써 막막하다 1.Association(연관 관계)그림 그대로 사용자가 이 앱에서 결제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관계이다.즉, 사용자와 앱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2. include(포함 관계)'결제를 하려면 로그인이 필수이다'를 나타내는 그림이다.하나의 기능을 하려 할 때 다른 기능이 꼭 동반되어야 하면 include를 사용한다. 3. extend(확장 관계)이러한 결제 과정에는 여러 과정이 있겠죠?현재 그림에선 결제를 진행.. 2024. 5. 17. 수강생 관리 프로그램 프로젝트 KPT (2024.05.02 ~ 2024.05.10) Keep이창형- git commit 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 좋았다고 생각됩니다.- 적극적인 자세로 팀원들이랑 의사소통을 한 부분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객체지향적으로 코드를 짜려고 노력한 점이 좋았습니다. (객체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들을 관리) 장재현- 팀프로젝트를 하면서 의사소통을 하며 바로 피드백 받는 부분이 좋았다- github를 사용하면서 pr을 이용하여 코드 공유하는 것이 좋았다- 각각의 역할을 분담해서 개발할 수 있는 것이 좋았다 남상혁- 다른 팀원들이 수정하는 것을 Zep으로 화면을 공유하면서 어떻게 시도하고 처리하는지 볼 수 있어서 많은 배움의 기회가 되었다.- Git에서 PR(Pull requests)의 과정을 거쳐 Git Hub를 사용하면서 서로의 코드를 공유하며 피드백을 주고 받을.. 2024. 5. 10. 발전하는 계산기 첫 숙제(?)겸 개인프로젝트를 받게 되었다.프로젝트는 1단계 2단계 3단계로 구분해서 계산기를 만드는 것이다. 시작해 보자! 당황스럽게도 프로젝트를 생성하자마자 Cannot reslove method라는 오류가 났다.찾아보니 잊을 만하면 자주 나오는 에러이고 아래와 같이 import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생긴 문제라고 한다.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왼쪽 상단의 file -> invalidated caches / Restart을 눌러 캐시를 비우고 재실행하니 해결되었다.프로젝트 생성부터 오류라니 쉽지 않다. 계산기 1단계는 학습 목표가 아래와 같다변수 & 타입 이해하기연산자 이해하기제어문 & 반복문 이해하기배열 & .. 2024. 4. 26. 팀 소개 페이지 미니 프로젝트 KPT (2024.04.15 ~ 2024.04.19) Keep 김경태 - 프로젝트의 본질에 집중해서 최대한 간단한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려는 점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몰토크 같은 것들을 하면서 프로젝트 조원간의 친밀감을 조성함 류승범 - 9to9시간을 준수했습니다 - 팀 채널을 이용하여 중요 내용 및 문제점, 활용 방법, 등을 메모하였습니다. - 프로젝트 완성 전 다같이 수정할 점과 문제점을 공유하며 해결하여 프로젝트의완성도를 높였습니다. 이창형 - 서로 지식 공유를 한 부분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ex ) 상혁님이 프론트앤드 아는 부분 설명 석준님의 제 오디오 기능 코드 사용 제가 승범님의 사진 부분 디자인 코드 사용 남상혁 - 각자 본인이 맡은 역할을 잘해냄. - 팀 프로젝트 시간에는 팀 프로젝트에 집중함. 노석준 - 원활한 의사소통 - 적극적.. 2024. 4.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