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aging이란?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page단위로 나눠서, 물리 메모리에서 연속되지 않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입니다.
paging을 하려면 프로세스 마다 존재해야합니다.
page table
page num frame num
0 123
1 944
2 166
3 534
페이징을 사용했을때 발생할 수 있는 메모리 단편화란?
물리적 메모리 공간이 작은 조각으로 나눠져서 메모리가 충분히 존재함에도 할당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외부적 단편화는 x (메모리가 남는게 적어서 사용 못하는 현상)
내부적 단편화는 일어날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마다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메모리를 오버해서 사용하는 현상)
'CS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segmentation (0) | 2024.10.15 |
---|---|
[자료구조] BST (0) | 2024.10.15 |
[네트워크] 주소창에 주소를 쳤을 때의 과정 (0) | 2024.10.15 |
[데이터베이스] Index (0) | 2024.10.14 |
[데이터베이스] DeadLock (0) | 2024.10.14 |